홍보

  • 2025 담양 문화예술포럼 「담양의 숨」 성료
  •  

2025 담양 문화예술포럼 「담양의 숨」 성료

작성자
담양군문화재단
작성일
2025-11-03
첨부파일
(보도자료)2025 담양 문화예술포럼 「담양의 숨」 성료.hwp : 1.5KB, (사진)담양의 숨 1.JPG : 482.3KB, (사진)담양의 숨 2, 3.PNG : 1.0KB,

상세정보

2025 담양 문화예술포럼 담양의 숨」 성료

사람·공간·기억을 통해 담양의 문화적 미래 비전 제시

 

 

 

 

담양군문화재단(이사장 정철원이하 재단)은 지난 1일 토요일 오후 2담양 호텔드몽드 대연회장에서 개최한 2025 담양 문화예술포럼 담양의 숨이 시민과 문화예술 관계자 등 약 50여 명의 참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사라져가는 담양의 사람·공간·기억에 스며 있는 문화적 숨결을 조명하고치유와 회복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지역문화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포럼에서는 황유진 ()이랑고랑 대표의 강연 어르신과 함께 예술로 엮은 마을이야기’, 이선철 감자꽃스튜디오 대표의 로컬 기반 문화창업 전략과 사례’ 등 타지역 문화예술 사례에 이어 담양문화를 살펴보는 강석훈 건축사사무소 선명 대표의 담양 공간과 문화변천’, 서해숙 남도다락 대표의 담양의 음식문화기억이 쌓인 식탁’ 등 다양한 주제의 발표가 진행됐다.

 

황유진 대표는 김제 용평마을에서 주민 스스로라는 원칙에 따라 마을 벽화를 출발점으로 전시·연극·영화로 확장한 활동그리고 10년 계획으로 이어진 동료 예술가와의 동행을 통해 어르신들과의 관계를 맺는 과정과 지역 문화예술활동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전달했다.

 

이선철 대표는 인구감소·지역소멸의 흐름 속에서 지역 기반 창업과 로컬크리에이터의 부상문화창업의 의미동시에 정책 의존과 시장경험 부족 등 한계를 짚고 예술·기획·창업이 만나는 생태계의 필요를 제시했다.

 

 

 

 

 

강석훈 대표는 담양의 지형을 항공사진으로 바라보며, ‘느림과 생활문화라는 공간 DNA를 짚어냈다영산강·시장·골목으로 이어지는 연결 회복과 담양 메이드(Damyang Made)」 프로젝트 구상을 통해 무엇을 기억하고 어떤 공간을 남길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서해숙 대표는 담양의 오래된 음식점을 조명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음식뿐 아니라 그 안에 녹아든 사람과 삶의 이야기를 통해 지역의 상권의 변화·시대의 흐름 등 전승과 변주의 기록을 펼쳐냈다이는 지역의 기록이며 문화적 자산의 일환으로폭넓게 확장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안했다.

 

 

 


 

질의응답 세션은 기존 지정 토론자 1:1 토론’ 방식에서 벗어나 먼저 관람객이 자유롭게 질문을 던지고발표자들이 서로의 발표에 대해 직접 소통하는 상호 질의’ 형식으로 진행했다이 과정에서 분야를 넘나드는 교차 논의가 활발히 오가며담양의 문화자원을 현재의 일상과 미래 전략으로 연결하는 실천적 아이디어들이 다각도로 제시됐다.

 

재단 관계자는 담양의 숨은 일상의 작은 문화에서 출발해 공동체의 기억과 힘을 이어가는 숨결을 확인한 자리라며 포럼에서 제안된 의견은 내부 검토와 지역 협의를 거치며 적용 가능성을 폭넓게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에는 담양의 고유한 문화자원과 협업 생태계공간 재생문화자원의 아카이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재단은 앞으로도 지역 안팎의 네트워크와 함께 열린 공론장을 꾸준히 마련해 담양의 지속가능한 문화 비전을 탐색할 계획이다.

 

사진있음. (업무담당자 문화정책팀 박선주 061-381-7427)


TOP